본문 바로가기

백운면

인쇄

함암리(咸岩里)

[한바우, 함암]【리】 본래 청풍군 수하면(水下面)의 지역으로서, 한바우 옆이 되므로 한바우 또는 함암(咸岩)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오초전리(烏椒田里)를 병합하여 함암리라 하였는데,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됨. 1980년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한수면 함암리가 되었다가,1985년 충주 댐 수몰 마을이 됨. 1987년 중원군 동량면에 이관됨. 서낭-댕이【마을】 안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 서낭당이 있었음. 안-골【마을】 한바우 서북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오초전리(烏椒田里)【마을】→ 옻추앗. 옻추-앗 [오초전리]【마을】한바우 복판에 있는 마을. 오씨가 터를 잡았다 함. 재말【마을】 한-바우¹【마을】→ 함암리. 한-바우² [함암]【바위】 함암 앞 강가에 있는 너럭 바위. 많은 바위들이 잇대어 있어서 여름에는 많은 사람들이 앉아 놂. 함암국민학교【마을】안골에 있던 초등학교,1971. 3 신축 서운분교로 개교, 1972. 9.1 독립교가 됨. 72년 대홍수 때는 동민의 수재민 수용소가 된 일도 있음. 85년 수몰로 서운리로 이전하여 동량초등 분교가 됨. 함-암¹(咸岩)【마을】→ 함암리. 함-암²(咸岩)【바위】→ 함바우. 함암-나루터【나루】 한바우 동쪽에 있는 나루터. 황강리로 건넘.

백운면(白雲面)

【면】제천시 행정 구역 1읍 7면 9동의 하나. 본래 제천군의 서쪽이 되므로 서면(西面)이라 하여 대티(大峙), 알연(?然), 장금대(長琴垈), 질고개(蛭古介), 왕당(旺當), 주론(酒論), 창리(倉里), 갈산(葛山), 부수동(富壽洞), 방학교(放鶴橋), 우음곡(羽音谷), 우경(遇慶), 화산(花山), 한삼포(漢三浦), 화당(花堂), 덕동(德洞), 굴파(屈坡), 용산(龍山), 공자(空梓), 죽관(竹串), 차도(釵道), 도곡(道谷), 소포(小浦), 평동(平洞), 모정(茅亭),의 25개 동리를 관할하다가.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백운산(白雲山)의 이름을 따서 백운면으로 고쳐, 운학(雲鶴), 덕동(德洞), 화당(花堂), 도곡(道谷), 방학(放鶴), 평동(平洞), 모정(茅亭), 애련(愛蓮)의 8개 리로 개편 관할함. 동쪽은 봉양면(鳳陽面)과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神林面), 서쪽은 강원도 원주시 귀래면(貴來面), 북쪽은 강원도 원수시 판부면(板富面), 남쪽은 충주시 산척면(山尺面)에 닿음.

덕동리(德洞里)

[덕동]【마을】본래 제천군 서면(西面)의 지역으로서 덕동(德 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덕동리라 하여 백운면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堤原郡) 백운면(白雲面) 덕동리(德洞里)라 하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덕동리가 되었다. 구수아[구수애]【마을】원덕동 북쪽에 있는 마을. 상학동과 운학리에서 흘러 오는 두 냇물이 마을 앞에서 합수함. 구수애【마을】→ 구수아. 덕-동(德洞)【마을】→ 덕동리. 덤-바우【마을】덕동리에 있는 마을. 더미로 된 바위가 있음. 백운사【절】 덕동351번에 위치 조계종으로 신도 50명 정도비트렛-골【마을】덕동리에 있는 마을. 상학동(上鶴洞)【마을】덕동리 서북쪽에 있는 마을. 구학산의 위쪽이 됨. 상학-재【고개】상학동에 있는 재. 강원도와의 경계에 있음. 연화사【절】 덕동86번지에 위치 원효종으로 신도 30여명 오두-리(烏頭里)【마을】→ 오두재. 오두-재¹[오두리, 오두티] 【마을】오두재 아래에 있는 마을. 오두-재²[오두티]【고개】오두재 서북쪽에서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興業面) 매지리(梅芝里)로 가는 재. 높이 731m. 지형이 까마귀의 머리처럼 생겼다 함. 오두-티¹(烏頭峙)【마을】→ 오두재. 오두-티²[烏頭峙]【고개】→ 오두재. 원-덕동(元德洞)【마을】덕동리의 원 마을. 제천제일감리교회수양관【수양관】덕동197에 위치 수용인원 200명 정도 중간-잠【마을】덕동리의 복판에 있는 마을. 중-리(中里)【마을】원덕동과 구수아 사이에 있는 마을. 차도-리[찻듸]【마을】→ 덕동리에 있는 마을. 칫듸【마을】→ 차도리.

도곡리(道谷里)

[도곡]【리】본래 제천군 서면의 지역으로서 도곡(道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한산포(漢山浦), 우경(牛?), 화산(花山), 공제(公才)를 병합하여 도곡이라 해서 백운면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堤原郡) 백운면(白雲面) 도곡리(道谷里)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도곡리가 됨. 갓-바우【바위】예찬리 남쪽 산에 있는 바위. 모양이 갓처럼 생겼다 함. 거룡대(去龍垈)【마을】도곡리에 있는 마을. 경순왕 이궁터(敬順王離宮-)【터】부수동에 있는 신라 끝임금 경순왕(敬順王)의 이궁(離宮) 터. 공자(公梓)【마을】→ 공재 공자소(公梓所)【마을】→ 공재. 공재(公才)[공자, 공자소, 소포]【마을】둔창터 서쪽에 있는 마을. 꽃미 아래가 됨. 지방 하급행정 구역의 하나인 소(所)가 있었음. 괴목(槐木)【나무】 도곡리에 있는 괴목. 둘레 7m. 궁-틀[궁평]【들】도곡리에 있는 들. 경순왕 이궁터가 있음. 꽃-미¹[화산]【마을】꽃미 밑에 있는 마을. 꽃-미²[화산]【산】우경 서쪽에 있는 산. 대감나드리【마을】공재 서쪽에 냇가에 있는 마을. 도-곡(道谷)【마을】도곡리. 도장-골【마을】예찬리 밑에 있는 마을. 도장 안처럼 깊숙하고 아늑함. 둔창-대(屯倉垈)【마을】→ 둔창리. 둔창-터[둔창대]【마을】한산포 서북쪽에 있는 마을. 옛날에 창고가 있었다 함. 명전-바우【바위】도곡 어귀에 있는 바우. 모양이 상여 앞에 들고 가는 명정(銘旌)처럼 생겼다 함. 바깥 공재【마을】공재의 바깥 쪽에 있는 마을. 배찬이【골】도장골과 예찬리 사이에 있는 골짜기. 백호-리【마을】도곡리에 있는 마을. 분동-재【산】우경 뒤쪽에 있는 산. 산봉우리가 뾰죽함. 석탑(石塔)【탑】도곡리에 있는 돌탑. 성산교회【교회】도곡리 218번지에 위치 신도수 40면 정도 소포(小浦)【마을】→ 공재. 안-공재【마을】공재의 안 쪽에 있는 마을. 예찬-리(禮讚里)【마을】꽃미 북쪽에 있는 마을. 옥녀-봉(玉女峰)【산】한삼포 뒤쪽에 있는 산.‘옥녀산발형(玉女散髮形)이라 함. 우경(遇慶, 牛畊)【마을】도곡 동쪽에 있는 마을. 원-도곡(元道谷)【마을】도곡리 원 마을. 은행-나무【나무】도곡리에 있는 은행나무.둘레 15자, 높이 50자. 절-골【골】꽃미 뒷 산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절-꼴【골】예찬리 동쪽 산에 있는 산골짜기. 무쇠점이 있었다 함. 쪽도리-바우【바위】예찬리 동쪽 산에 있는 바위. 족두리처럼 생겼다 함. 한삼-재【마을】→ 한삼포. 화산 (花山)¹【마을】→ 꽃미. 화산 (花山)²【산】→ 꽃미.

모정-리(茅亭里)

[모정,모정각]【리】본래 제천군 서면(西面)의 지역으로서, 모정(茅亭)이 있었으므로 모정각 또는 모정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주론리(酒論里)와 왕당리(旺當里)를 병합하여 모정리하 해서 제천군 백운면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堤原郡) 백운면(白雲面) 모정리(茅亭里)라 하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모정리라 함. 건너점골【골】건너다 보이는 곳에 쇠붙이를 구었던 골이 있었다고 함 독점-재【고개】모정 남쪽에서 애련리로 가는 고개. 밑에 독점이 있었음. 돌트-미【마을】모정들. 모정-들[돌트미]【들】원모정 앞에 있는 들. 돌이 많았음. 모-정(茅亭)【마을】모정리. 모정각(茅亭閣)【마을】모정리. 삼산넘어들【들】삼산(三山)을 넘어가는곳에 들이 있다하여 삼산넘어들 이라 불려지고 있음 삼봉-산(三峰山)【산】왕당이에 있는 세 봉우리의 산. 속-담【마을】모정 뒤쪽에 있는 마을. 수-론[술론, 주론]【마을】왕당이 동북쪽에 있는 마을. 수론-들【들】수론 앞에 있는 들. 술-론【마을】→ 수론. 숲거리【거리】모정2리에서 모정1리로 가는 경계지점으로 이십여년전 오리나무가 아람들이 고목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어 숲거리라 이름붙여짐 시령-산【산】모정리 동쪽에 있는 산. 시령사라는 절이 있었다 함. 애련골【골】모정리에서 애련리로 넘어가는 골짜기로 애련골이라 함 용-구매기【여울】모정들 앞 내에 있는 여울. 용이 등천하였다 함. 용-바위【바위】용구매기에 있는 큰 바위. 두 쪽으로 갈라져 있는데, 용이 등천할 때 갈라진 것이라 함. 왕당이(旺堂-)【마을】모정 동북쪽에 있는 마을. 어귀에 사낭당이 있으며, 뒷산에 산제당이 있음. 왕당잇-들【들】왕당이 앞에 있는 들. 웃-담【마을】모정 안쪽에 있는 마을. 원-모정(元茅亭)【마을】모정리의 원마을. 주론(酒論)【마을】→ 수론. 청둥-산【산】모정리 남쪽에 있는 산. 평풍재【고개】모정에서 평동을 넘어가는 고개로 산이 평풍을 펼쳐 놓은 것 같다고 하여 평풍재라 함

방학리(放鶴里)

[방아다리, 서면방아다리, 방학교, 방하리]【리】본래 제천군 원서면(遠西面)의 지역으로서 방아다리가 있었으므로 방아다리, 방학교(放鶴橋), 방하리(方下里) 또는 북면[송학면]의 방아다리와 구별하여 서면방아다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부수리(夫水里)와 우음리(羽音里)를 병합하여 방학리라 해서 백운면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堤原郡) 백운면 방학리라 하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방학리가 됨. 골-말【마을】웃말 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구렁[돌무구렁]【마을】방학리에 있는 마을. 궁-뜰¹[궁평]【마을】부수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옆에 궁뜰이 있음. 궁-뜰²[궁평, 궁야]【들】부수동 북쪽에 있는 들. 서남쪽에 이궁(離宮)인 동경도(東京都)가 있었음. 궁-야(宮野)【들】→ 궁뜰. 궁-평¹[宮坪]【마을】→ 궁뜰. 궁-평²[宮坪【들】→궁뜰. 대-곡(大谷)【마을】→ 큰골. 돌무구렁【마을】→ 구렁. 동경저 터(東京邸-)【터】궁뜰 서남쪽에 있는 동경저의 터, 신라말 경순왕(敬順王)이 고려 왕건(王建)에게 나라를 바치고 명산(名山)을 찾아다니다가 이 곳에 이르러 이궁(離宮)을 짓고 머무렀다 함. 동부【마을】방학리에 있는 마을. 동청-굴【마을】방학리에 있는 마을. 두마창【마을】부수동 맞은 편에 있는 마을. 말(馬)에게 물을 먹이던 큰 못이 있었다 함. 마당바위【바위】방학 궁뜰앞 하천변에 마당처럼 넓고 평평하다 하여 이름 붙여짐 마락-골【마을】방학리에 있는 마을. 매봉-재【산】중턱말 앞에 있는 산. 맨두-재【고개】큰 골 동북쪽에 있는 봉양면 옥전리로 가는 고개. 문-바우¹[문암]【마을】골말 동북쪽에 잇는 마을. 문바우가 있었음. 문-바우²[문암]【바위】문바우에 있던 바위. 길가 양쪽에 문기둥처럼 서 있었음. 문-암¹[門岩]【마을】→문바우. 문-암²[門岩]【바위】→문바우. 문화생활관【공공기관】 방학리 상촌에 위치 1995년에 신축. 건평40평 방아-다리¹【마을】→ 방학리. 방아-다리²[방학교]【다리】→ 방다리 서쪽에 있던 다리. 디딜방아의 방아채로 놓았었음. 방하-리(方下里)【마을】→ 방학리. 방학-교¹(放鶴橋)【마을】→ 방학리. 방학-교²(放鶴橋)【다리】→방아다리. 방학-저수지(放鶴貯水池)【저수지】궁뜰 앞에 있는 저수지. 번던-움【마을】방학리에 있는 저수지. 범-바우[호암]【바위】범바웃골에 있는 바위. 옛날에 범이 살았다 함. 밤바웃-골(虎岩谷)【마을】큰골 북쪽에 있는 마을. 범바우가 있음. 벨엘교회【교회】방학1리 중촌에 위치하며 1962년 10월에 창립. 신고수 약70명정도 부수-동(富壽洞, 夫水洞)【마을】방아다리 서남쪽에 있는 마을. 상-촌(上村)【마을】→ 웃말. 서면-방아다리【마을】→ 방학리. 손두-안【마을】방아다리 동북쪽에 있는 마을. 사방에 산이 둘러 있음. 양지-말【마을】궁뜰 북쪽에 있는 마을. 양지 쪽에 있음. 여우목고개【고개】 궁뜰 동편에 위치하며 옛날 여우가 많이 서식하던 고개로 여우목으로 붙여짐 우음-곡(羽音谷, 愚音谷)【마을】→ 움실. 움-실[우음곡]【마을】골말 서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웃-말[상촌]【마을】방아다리 위쪽에 있는 마을. 중턱-말【마을】웃말과 궁뜰 사이에 있는 마을. 큰-골[대곡]【마을】문바우 북쪽 큰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큰-들【들】방아다리 뒤에 있는 큰 들. 호-암(虎岩)【바위】→ 범바우. 호암-곡(虎岩谷)【마을】→ 범바우골.

애련리(愛蓮里)

[애련, 알련]【리】본래 제천군 원서면(遠西面)의 지역으로서. 알련(?然) 또는 연꽃이 물 위에 떠 있는 형국이라 하여 애련리(愛蓮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장금리(長琴里), 길현리(吉峴里), 대티리(大峙里)를 병합하여 다시 애련리라 하여 백운면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으로 인하여 제원군(堤原郡) 백운면(白雲面) 애련리(愛蓮里)라 하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가 됨. 고양텃-골[고양대곡]【골】애련리에 있는 골짜기. 고려 공양왕(恭讓王)이 잠시 머물렀다 함. 공양대-곡(恭讓垈谷)【골】→ 고양텃골. 구정-모랭이(舊廷-)【모롱이】 애련리에 있는 모롱이. 고려 공양왕(恭讓王)이 지난 곳이라 함. 길-현(吉峴)【마을】질고개. 당-고개¹(堂峴)【마을】→당고개 밑에 있는 마을. 당-고개²(堂峴)【고개】질고개 북쪽에서 평동리로 가는 고개. 당-현(堂峴)¹【마을】→ 당고개. 당-현(堂峴)²【고개】→ 당고개. 대-티(大峙)¹【마을】→ 한티. 대-티(大峙)²【고개】→ 한티. 말등-바우【바위】당고개 앞에 있는 바위. 말등처럼 생겼다 함. 상-대티(上大峙)【마을】웃 한티. 알연(?蓮)【마을】→ 애련리. 애련(愛蓮)【마을】→ 애련리. 웃-한티[상대티]【마을】한티 위쪽에 있는 마을. 장-금【마을】장금터. 장금-대(長琴垈)【마을】장금터. 장금-터[장금, 장금터]【마을】애련 동남쪽에 있는 마을. 신라 때 우륵(于勒)이 제자들을 이 곳에 데리고 와서 춤, 노래, 가야금을 가르쳤다 함. 장자-더기【마을】진소 북쪽에 있는 마을. 장자가 살았다 함. 지루-고개¹【마을】→ 질고개. 지루-고개²【고개】→ 질고개. 진-소¹【마을】한티 동남쪽에 있는 마을. 앞에 진소가 있음. 진-소²【소】한티 동남쪽에 있는 긴 소. 질-고개¹[지루고개, 길현리]【마을】질고개 밑에 있는 마을. 질-고개²[길현, 지루고개]【고개】애련리 서북쪽에 있는 고개, 질고개에서 평동리로 감. 한-티¹[대티]【마을】한티 밑에 있는 마을. 한-티²[한팃재, 대티]【고개】웃한티 북쪽에 있는 큰 고개. 애련리에서 봉양면 원박리로 감. 조선 시대 청풍(淸風) 고을로 가는 관행 길이었음. 한팃-재【고개】→한티.

운학리(雲鶴里)

[운학, 운학동]【리】본래 제천군 원서면(遠西面)의 지역으로서, 구학산(九鶴山)과 백운산(白雲山) 아래가 되므로 백운과 구학의 이름을 따서 운학(雲鶴) 또는 운학동(雲鶴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차도리(次道里)와 용산리(龍山里)를 병합하여 운학리라 해서 백운면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백운면 운학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군 백운면 운학리가 됨. 거문-골[금곡]【마을】구레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 사방에 산이 둘러 있어서 어두움. 구럭-재[구록티]【고개】상운학동 동북쪽 구록산에 있는 재.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구학리로 가는 고개. 구레-곡(求禮谷)【마을】→ 구례골. 구례-골[구레곡]【마을】 구름산 밑에 있는 마을. 구록-티(求祿峙)【고개】→ 구럭재. 금-곡(琴谷)【마을】→ 거문골. 나잣-골【마을】중산 옆에 있는 마을. 냉강-골【골】찻대 서쪽에 잇는 골짜기. 덤-바우【바위】운학리에 있는 바위. 더미로 되었음. 덤바우-골【골】덤바우가 있는 골짜기. 못-재【산】운학 서북쪽에 있는 산. 산 위에 큰 못과 작은 못이 있음. 범-죽이【골】찻대 위에 있는 골짝. 옛날 어느 힘 센 장사가 이 곳에 나타난 범을 잡아 죽였다 함. 벼락-바우【바위】거문골 안에 있는 바우. 큰 바위가 벼락을 맞아 여러 조각으로 쪼개져 있음. 비트리-골【골】운학리에 있는 골짜기. 상-운학동(上雲鶴)

원월리(院月里)

[원월]【리】본래 충주군 산척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院西里,梅村,佳亭,小月里를 병합하여 원서와 소월의 이름을 따서 현재 법정리동명은 원월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제천군 백운면에 이관되어 행정리동은 원서,매촌,재현,가정,소월,대월,응평리로 나누어 관할하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원월리가 됨. 가경자【마을】가정 가정【마을】가정(佳亭),가경자 대월 서북쪽에 있는 마을, 가정자나무가 있었다고 함 교육자선비【비】교육자선비(敎育慈善碑), 원서에 있는 김영순(金永淳)의 자선비, 땅 만평을 원월국민학교에 기증하고 교육에 투자한 공로를 기념하여 세움 대월(大月,대월터)【마을】 원월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매두지기들【들】 매두지기 북쪽에 있는 들 매두지기보【보】매두지기들에 있는 보 매촌【마을】梅村,매루니 대월 동북쪽에 있는 마을 전에 매화나무가 많이 있어 매촌이라 이름지어짐 빗돌거리1【 마을】소월 빗돌거리2 【길】소월앞에 있는길 옛날에 빗돌이 서있었다 하여 이름지어짐 빗돌거리 약수터【약】빗돌거리에 있는 약수터 속병과 피부 병에 좋음 소월【마을】소월(小月),빗돌거리, 대월서쪽에 있는 마을 , 대월보다 작으며 빗돌거리가 있음 원서【마을】원서(院西) 원월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남한강 수운이 운영되던 시절에 제천,영월 등지 에서 서울로 통하는 뱃길이 되었으며, 원집이 있었음 원섯다리【다리】원서와평동리 사이에 있는 다리 길이 100m 너비6m 원섯들【들】원서앞에 있는 들 원월국민학교 자리 【터】처음에는 1940년 매촌에 세원진 원월학교였는데 소월로 옮겨지었다가 1991년 폐교되고 다른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응평【마을】응평(應坪),매두지기,대월 서북쪽에 있는 마을 황새월길【길】응평에서 대월로 연결되는 도로 재고개【마을】빗돌거리와 가정사이에 작은고개 밑에 있는 마을 재현【마을】才峴,재고개라 함 오천【마을】현재 재현리를 말하며 2000.6.10일 범죄없는 마을 현판을 걸었다. 충북지사(이원종)가 재현마을 뒷산의 오청산의 ‘오’자와 천등산의 ‘천’자를 따서 오천(吾天)마을 이라 이름지었다 함. 오천년보다 더욱더 오래도록 각 가정의 행복과 자손만대 번창하길 기원한다는 오천 마을 자랑비가 마을 입구에세워져 있음. 약천사【절】원월산 68번지에 위치하며 삼론종으로 신도수 약80명 정도 평원교회【교회】원월7번지에 위치하며 신도수 약170명 정도 소망교회【교회】 원월리 10번지에 위치하며 신도수 약30명 정도

평동리(平洞里)

[평동]【리】본래 제천군 원서면(遠西面)의 지역으로서, 평지가 되므로 평동리(平洞里)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창리(倉里), 갈산리(葛山里)를 병합하여 백운면에 편입되었다가,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 승격에 따라 제원군(堤原郡) 백운면(白雲面) 평동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가 됨. 백운면 소재지로소, 경찰파출소, 백운초등학교, 백운중학교, 백운 우체국, 백운농업협동조합 등 공공기관이 있음. 조선 고종(高宗)33년 (1896) 정월 4일에 의병대장(義兵大將) 유인석(柳麟錫)이 충주(忠州)에 있는 왜적(倭敵)을 치기 위하여 이 곳에 진을 치고 있다가 충주로 갔었다 함.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백운면 평동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가 됨. 갈-미¹[갈산]【마을】갈미 아래 있는 마을. 갈-미²[갈산]【산】평동 서북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갈모처럼 생김. 갈-산¹(葛山)【마을】→갈미. 갈-산²(葛山)【산】→갈미. 경은사【절】조선중기 탄명(坦明)선사가 창건 도덕암 또는 백운암으로 불리었고 빈터로 전해오던 것을 1939년 미상의 불자가 지은 작은토굴이 화재로 전소되어 1940년 윤경화상이 중창 백운사로 불리었으며 1942년 다시 화재로 전소된 법당을 재건하면서 이름을 경은사(慶恩寺)로 바꾸었고, 1985년 수경 주지가 법당과 삼성각을 증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내-평장곡(內平章谷)【마을】→ 안말. 도덕-사(道德寺)【절】소리개 동북쪽에 있는 절. 1958년 3월에 진우가 세움. 도덕-암(道德岩)[도적암]【바위】박달재 서쪽 아래 개울가에 있는 큰 바위. 바위 뒤에 도둑들이 웅거하며 박달재를 넘어다 니는 행인들을 괴롭혔다 함. 밑에는 내가 흐르고 뒤에는 기암 절벽이 솟아 있으며, 수목이 울창하여 경치가 아름다움. 도적-암【바위】→ 도덕암. 둔지원-터(屯池院-)【터】창터에 있는 조선 시대의 둔지원의 터. 연산군(燕山君) 8년(1502)에 제천 현감 임 호(任浩) 가 창건하였는데, 그 뒤 원서창(遠西倉)으로 쓰이다가 헐림. 둔지천교(屯知川橋)【다리】→ 원섯다리. 박달-령(朴達嶺)【고개】→ 박달재. 박달-재[박달령]【고개】봉양면 원박리로 가는 고개 ‘박달재’ 박달재터널【터널】봉양면 원박리와 통하는 국도38번 도로상의 터널로 길이1.965㎞ 의 왕복 쌍터널. 박달재휴양림【레저관광】도덕암 주변에 조성한 자연휴양림. 통 나무집 황토방등의 숙박시설이 갖추어져 있슴 백운오순절교회【교회】평동리226번지에 위치 신도수 약 30 명 정도임. 본-말【마을】평동리의 본 마을. 소리-개[연리]【마을】안평창골 동북쪽 높은 지대에 있는 마을. 안-말[안평장골, 내평장곡, 장자터]【마을】평장골 안쪽에 있는 마을. 충주 박씨(忠州朴氏) 부자가 살았다고 함. 안-펑장골【마을】→ 안말. 연-리(鳶里)【마을】→ 소리개. 왕국회관【교회】평동리 594-3번지에 위치 신도수 약 30명 정도. 원서-뒷들[원서후평]【들】평동 남쪽에 있는 들. 원서창 터 뒤가 됨. 원서면 터(遠西面-) 【터】 본말에 있는 원서면으 터. 본래 제천 군 서쪽 멀리 있으므로 원서면이라 하여 대티(大峙), 알연(?然),장금대(長琴垈), 질고개(?苦介), 왕당(旺堂), 주론(酒論), 창리(倉里), 갈산(葛山), 부수동(富壽洞), 방학교(放鶴橋), 우음곡(遇音谷), 우경(遇慶), 화산(花山), 한삼포(漢三浦), 공자(空梓), 화당(花堂), 죽관(竹串), 덕동(德洞), 굴파(窟坡), 용산(龍山), 차도(釵道)의 21개 리를 관할하다가, 그 뒤 서면(西面)으로 개칭하였으며, 1914년 군면 폐합때 제천군 백운면으로 고쳤다가, 1980년 제천시 시승격으로 제원군 백운면으로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가 되었음. 원서창 터(遠西倉-)【터】→ 창터. 원서-후평(遠西後坪)【들】→ 원서뒷들. 원섯-다리[둔지천교]【다리】평동 복판 둔지천 위에 놓인 다리, 원월리(院月里)와 평동(坪洞)을 잇는 다리. 중통-말【마을】평동 복판에 있는 마을. 평-동(平洞)【마을】평동리. 평동-교(平洞橋)【다리】평동에 있는 다리. 길이14m, 너비3m. 1962년 12월에 놓았다가 다시 고쳐놓음. 평동-장(平洞場)【장】평동에서 열리는 5일장. 1일과 6일에 서다 가 1980년 이후 폐지됨. 평장-곡[平章谷]【마을】→ 평장골. 평장-골[평장곡]【마을】평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평장사(平章事) 벼슬을 한 사람이 살았었다 함. 창-말【마을】→창터 근처에 있는 마을. 창-터[원서창터] 【터】평동 위 백운면 사무소 근방에 있는 터. 옛 제천군 원서면에 딸린 창집이 있었음. 천주교백운성당【교회】평동리 277-2에 위치하며 신도수 약 500명 정도

화당리(花塘里)

[꽃댕이, 꽃당이, 화당]【리】 본래 제천군 원서면(遠西面)의 지역으로서, 꽃당이, 꽃댕이 또는 화당(花堂,花塘)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죽관리(竹串里)와 소포리(小浦里)를 병합하여 화당리라 해서 백운면에 편입됨.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堤原郡)백운면(白雲面) 화당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에 따라 제천시 백운면 화당리가 됨. 강승갱이【마을】작은개 서쪽에 있는 마을. 꽃-당이【마을】→ 화당리. 꽃-댕이【마을】→ 화당리. 너럭-골【마을】호도나무배기 동쪽에 있는 마을. 대-꼬지[죽관리]【마을】화당리에 있는 마을. 배-티(拜峙)¹【마을】→ 뱃재. 배-티(拜峙)²【고개】→ 뱃재. 뱃-재¹[배티,이현]【마을】뱃재 밑에 있는 마을. 뱃-재²[배티,이현]【고개】호도나무배기 서쪽에서 강원도(江原道) 원주시(原州市) 귀래면(貴來面 ) 운남리(雲南里)로 가는 재. 신라 경순왕(敬順王)이 날마다 아침 저녁으로 이 재에 올라 꿇어 앉아 절을 했다 함. 비디-재¹【마을】비디재 밑에 있는 마을. 비디-재²【마을】역주벌 남쪽에서 중원군 엄정면 가춘리로 가는 재. 사리-재【마을】화당리에 있는 마을. 새-매기¹【마을】새미기 밑에 있는 마을. 새-매기²【고개】송골 남쪽에서 중원군 엄정면 가춘리로 가는 높은 고개. 새절-골【골】너럭골 위에 있는 골짜기. 새절이 있었음. 새터-말[신대촌]【마을】강승갱이 남쪽에 새로 된 마을. 소-포(小浦)【마을】→ 작은 개. 송-곡(松谷)【마을】→ 송골. 송-골[송곡]【마을】중간말 서북쪽에 있는 마을. 소나무가 울창하였음. 신대-촌(新垈村)【마을】→ 새터말. 약수-동(藥水洞)【마을】 꽃댕이 북쪽에 있는 마을. 여우-내【마을】약수동 서북쪽에 있는 마을. 역주-벌【마을】송골 서쪽에 있는 마을. 옥녀-봉(玉女峰)【산】꽃댕이 서쪽에 있는 산. 산형이 옥녀(玉女)가 머리를 풀고 있는 형국이라 함. 이-현(梨峴)¹【마을】→ 뱃재. 이-현(梨峴)²【고개】→ 뱃재. 자래-바우【바위】작은개 앞에 있는 바위. 자라처럼 생김. 작은-개[소포]【마을】새터말 동남쪽에 있는 마을. 1750년대 홍수로 인해 없어졌다가 다시 이룸. 전사-처(箭事處)【고적】대꼬지에 있는 옛 하급 행정 구획의 하 나인 처가 있었음. 전장-터【터】꽃댕이 맞은 편에 있는 터. 예전에 장이 섰음. 제주-고을터【터】꽃댕이 북쪽 초등학교 자리에 있는 고을터. 고려(高麗) 때 제주(堤州=堤川) 고을의 관아가 있었다 함. 주막-거리【마을】송골 서쪽 길가에 있는 마을. 주막이 있었음.죽관-리(竹串里)【마을】→ 대꼬지. 중간-땀【마을】새터말 서쪽에 있는 마을. 화당리의 북판이 됨. 진장-터【터】꽃댕이 맞은 쪽에 있는 터. 고려 때 제주(堤州=堤川)장이 섰다 함. 향굣-골【골】꽃댕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 제주(堤州=堤川) 고을의 향교가 있었다 함. 호도나무-배기【마을】역주벌 서북쪽에 있는 마을. 1800년대 호 두나무가 많았다 함. 화당(花塘)【마을】→ 화당리. 황나절-골[황학사]【골】너럭골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황나절이 있었음. 황나절-터[황산사터]【터】황나절골에 있는 황산사의 터. 신라(新羅) 경순왕(敬順王)이 고려(高麗) 왕건(王建)에게 나라를 바치고, 괴로운 마음을 잊으려고 명산(名山)을 찾아 가다가, 평동리 궁평에 이르러 이궁(離宮)을 짓고, 뱃재에 올라 강원도 용화산(龍華山)의 위용을 감탄하여, 그 산에 있는 돌 을 깨어 미륵을 만들게 하고, 이 절을 세워 중으로 하여금 날마다 아침 저녁으로 미륵에게 불공을 드리고 종을 치게 하여, 종소리가 나면 뱃재에 올라 꿇어앉아 절을 했다 함. 황학-사(黃鶴寺)【골】→ 황나절 골.


담당자정보

부서
문화예술과
전화번호
043-641-5525